top of page

봉화 노인복지센터

봉화노인복지센터 기능보강사업 설계공모 참가작 (4등)

외부투시도 메인-최종2.jpg

치매 환자들의 요양원은 많은 경우 시간이 멈춘 듯한 공간이 된다.

그곳에서는 아침과 저녁, 계절의 흐름조차 희미해지고, 매일은 서로를 구분 짓지 못한 채 흘러간다. 환자들은 같은 장소에 머물며 시간을 견디는 삶에 놓인다.

요양원이라는 건물은 여생을 지탱하는 생활의 배경이 되어야 하지만, 칸칸이 구분된 침실, 효율성을 위한 중복도 공간 등 촘촘한 실내 공간 속에서는 하루의 변화, 계절의 차이, 삶의 결이 충분히 감각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. 봉화 노인복지센터는 자연과 한 발짝 가까이에서 거주자들이 시간의 변화를 몸으로 감각하며 여생을 보내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.

외부투시도 출입구- 최종_edited.jpg

- 배치도 -

배치도_최종.jpg

- 1층 평면도 -

지상1층 평면도_최종2.jpg

- 2층 평면도 -

지상2층 평면도_최종2.jpg

- 프로그램 및 동선 개념 -

엑소노다이어그램-01_edited.png

침실과 같은 주요 생활실을 제외한 로비, 홀, 이동통로는 단순한 실내 복도가 아니라, 자연이 스며드는 반(半)외부적 공간으로 계획하였다.

천창과 커튼월을 통해 문을 나서는 순간 안마당에 들어선 듯 밝고 열린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거주자는 건물 안에서도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체감한다.

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이동 동선은 노인들이 거닐며 자연스럽게 운동할 수 있는 걷는 풍경을 만들고, 이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인식된다. 이러한 공간은 건물을 단순한 거주의 틀을 넘어 지역사회와 일상의 활동과 풍경을 공유하는 열린 복지 공간으로 확장시킨다.

​매스 사이의 틈과 연결부는 자연을 건물 안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, 동시에 사람들의 움직임과 시선을 이끌어 내부와 외부, 개인과 공동체가 차츰 가까워지는 경험을 만든다.

2층 복도1.jpg
2층복도2.jpg
프로그램실.jpg
공동거실.jpg
2인실.jpg
4인실.jpg

andeularchitects@naver.com
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209 B1F

bottom of page